자폐는 왜 발생하는 걸까? 무엇이 잘못된 걸까? 부모가 아이를 잘못 키워서 아이에게 자폐라는 문제가 생긴 걸까? 아니면 태어날 때부터 그렇게 태어난 것일까? 초은이가 어렸을 때 나와 아내가 가졌던 질문이다. 초은이를 제대로 키우지 못한 부모 탓이라는 생각이 많이 들었고, 심지어 어느
자폐 아동 의사소통이 어려운 이유. 자폐인들은 소셜 큐에 반응해 관심 전환을 하지 않는다.
정상적으로 발달하는 아동과는 어려서부터 의사소통의 원활하다. 정상으로 발달하는 경우, 생후 6개월 된 아이와 눈을 맞추고 노는 것만으로도 부모는 사회적, 감정적 만족을 얻을 수 있다. 쉽게 말해서, 6개월 된 아이와 눈을 마주치고 노는 것 자체가 즐겁고, 그것만으로도 행복감을 느끼게 된다. 하지만
사춘기가 더 빨리 찾아오는 여자 자폐 청소년
이 연구에는 총 239명의 청소년이 참여했다. 대상자들의 연령은 만 10세부터 만 13세까지이다. 이중 137명은 자폐 스펙트럼 장애를 가지고 있고, 102명은 대조군이었다. 자폐 청소년 중 35명은 여성, 102명은 남성이었고, 대조군에서는 44명이 여성, 58명이 남성이었다. 신체 모양의 변화와 모근의 발생을 기준으로 해서
모든 연령, 모든 언어 사용 수준을 평가하려는 언어평가도구, ELSA
ELSA, Eliciting Language Samples for Analysis https://pubmed.ncbi.nlm.nih.gov/32909382/ 새로운 언어평가도구, ELSA는 모든 연령, 모든 언어 수준의 자폐 아동의 언어능력을 평가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연구자들은 ELSA를 사용한 언어 평가를 통해 아이가 성장하는 동안, 혹은 중재의 효과로 인한 언어능력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고 말한다. 또한 거의 언어를
자폐와 뇌(2) – 발달과정에서 자폐 아동과 정상 아동의 뇌는 어떻게 달라질까?
여러 연구들은 자폐로 진단받은 아동 상당수의 경우, 뇌 특정 부분이 정상 아동보다 매우 빠르게 성장하는 것을 확인했다1,2,3. 정상 아동과 비교했을 때, 6-12개월 동안 자폐 아동의 뇌에서 피질 표면 영역에 상당히 급격한 확산이 확인되었다. 12-24개월에 자폐 아동의 뇌 크기는 정상 아동의
자폐와 뇌(1) – 자폐인과 비자폐인 사이의 뇌의 구조적 차이
자폐는 신경 발달적 현상이다. 하지만 자폐가 진단되는 방식은 조금 다르다. 제한적 관심과 반복적 행동, 사회적 의사소통의 어려움이라는 핵심 행동 특성을 통해 소아정신과에서 진단되는 관행을 가지고 있다. 최근 자폐 연구는 이러한 핵심 행동 특성이 자폐인 뇌의 구조적 차이 때문에 발생한다고 주장한다.
소리를 듣고 관심을 공유하지 못하는 자폐 아동
Joint-Attention, 관심 공유라는 개념은 아이의 발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어려서부터 아이들은 부모와 얼굴 표정을 통해서 감정을 공유하기 시작하고, 점점 나이가 들면서 주변 사물이나 사람, 그리고 동물에 대한 관심을 보이면서 그 대상에 대해 함께 이야기하며 관심을 공유하게 된다. 이러한 관심
자폐의 감각적 문제와 뇌 연구
자폐인들의 경우 신경에서 뇌로 전달되는 감각 정보 신호가 비정상적으로 강하다. 2015년 3월 Brain지에 발표된 논문은 자폐인들이 빛, 소리, 촉각자극과 같은 감각 자극에 과도하게 예민한 이유를 설명하고 있다. https://pubmed.ncbi.nlm.nih.gov/25765326/ 하지만 자폐 연구 분야에서 뇌의 연결성connectivity 만큼 그 발견이 복잡한 발견도 없다.
Intense World Theory, 자폐에 대한 통합적 이론과 반론
현상을 설명하는 이론은 간단하면서 통합적unifying일 때 그 힘을 발휘한다. 간단한 원리로 현상의 작동 원리 대부분을 설명할 수 있다면 학문 분야에서 많은 관심을 자연스럽게 받게 된다. 자폐 연구에서도 그런 시도가 있었다. https://www.frontiersin.org/articles/10.3389/fnhum.2010.00224/full 스위스 학자인 Kamila 와 Henry Markram 박사는 2011년 Intense
드보라 페인이 말하는 Optimal Outcome
https://pubmed.ncbi.nlm.nih.gov/23320807/ 자폐 연구 분야에서 Optimal Outcome 이란 단어가 처음 사용된 것은 2013년이다. 드보라 페인이라는 심리학과 교수가 자폐 진단을 벗어난 아이들을 묘사하기 위해서 2013년 논문에서 처음 사용한 것이다. Optimal Outcome, 우리말로 하면 “최적의 결과.” 드보라 페인 교수가 이 표현으로 지칭한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