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와 장애, 정치는 무엇으로 하는 걸까? 철학? 행동? 실력?

여느 30대 남성처럼 나는 정치와 사회적 문제에 관심이 많다. 하지만 글을 통해서 정치에 대한 나의 생각을 전해본 적은 없다. 물론 이 글을 통해서도 나의 정치적 의견을 전하려고하는 것은 아니다. 기회는 평등하고, 과정은 공등하고, 그 결과는 정의로울 것입니다. 이 말을 처음들었을

자폐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이 학대를 받고있다는 슬픈 연구

https://onlinelibrary.wiley.com/doi/abs/10.1111/jcpp.12993 자폐아동과 지적장애아동, 그리고 정상아동들을 대상으로 비교한 연구라고 한다. 통계적으로 보았을 때 정상아동보다 자폐아동과 지적장애아동이 학대를 당하는 경우가 2배 이상 높다는 점이 지적하고 있다. 연구의 초반을 보면 수많은 연구들이 발달장애를 가진 아동들이 학대받고 있다는 점을 반복적으로 지적하고 있다. 즉, 많은

자폐아동의 형재 자매가 운동신경이 평균보다 부족할 거라는 연구. 어떻게 봐야할까?

Siblings of children with autism may have trouble with motor tasks 사람들은 과학이란 말을 신봉하는 경향이 있다. 과학적이라고 하면 마치 그것이 객관적인 사실인 것처럼 인식하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 이탈리아의 파르마 대학 연구진들은 자폐아동 27명, 자폐아동의 형재 자매인 정상발달아동 19명,

집중의 중요성

2016년 12월 22일 오늘은 오전부터 아쿠아플라넷 일산에 갔다. 보통 첫째가 학교에서 돌아온 방과 후 시간에 많이 갔었는데, 오늘은 첫째가 감기로 목이 너무 아파서 학교에서 조퇴를 하고 일찍 놀러갔다. 일찍 아쿠아플라넷에 가니 다양한 공연이 우리를 기다리고 있었다. 이렇게 대형 수조관 속에서

자폐에서 완전히 벗어날 수 있을까?

미국 자폐 NGO 오티즘 스픽스Autism Speaks 홈페이지에 2009년에 쓰여진 자폐의 치료, 회복률에 대한 글을 읽었습니다. 2008년의 연구에 의하면 자폐에서 벗어난 아이들의 비율이 3~25% 정도 된다고 하네요. 3~25%! 아주 이상한 비율이죠. 아래 링크를 누르시면 해당 연구를 확인 할 수 있습니다. https://www.ncbi.nlm.nih.gov/pubmed/19009353?ordinalpos=1&itool=EntrezSystem2.PEntrez.Pubmed.Pubmed_ResultsPanel.Pubmed_DefaultReportPanel.Pubmed_RVDocSum

자폐 치료 전문가들 사이에서 언어 이해에 대한 부족이 아쉽다.

언어는 생각을 암호화coding해서 화자와 청자가 의미를 주고받는 수단이다. 지금 내가 블로그에 포스팅을 하는 행동 역시 내 머릿속의 생각을 암호화해 글로 옮겨놓고, 독자가 언어라는 매개를 통해서 내가 전달하고자 하는 생각을 해석하게 되는 것이다. 젊은 시절, 그러니깐 지금보다 젊은 시절, 나는 이런

행동치료를 통해서 자폐아의 뇌를 바꿀 수 있을까?

이 책은 ESDMEarly start denver model이라는 자폐아동 중재법을 설명하는 책입니다. 이 중재법의 핵심은 아동이 즐거워하는 활동을 통해 동기를 유발하고, 그 동기를 통해 학습이 일어나도록 하는데 있습니다. 즉, 하기 싫은 것을 억지로 시키는 교육이 아닙니다. 자폐아동들도 자발적인 동기가 발생하면 그 순간

전반적 발달장애? PDD? DSM-5

우리는 자폐(自廢)라는 단어를 별로 좋아하지 않습니다. 여기서 우리는 자폐스펙트럼 장애를 가진 아이를 둔 부모를 말하죠. 저도 그 중 한 명입니다. 왜 그런지는 잘 모르겠지만, 자폐라는 말보다는 전반적 발달장애라고 말하는 편이 좋을 때가 있습니다. 왜 그럴까요? “자폐”, “스스로를 가둠” 이 말이

자폐, 어떻게 치료할까?

자폐의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자폐가 선천적innate 질병이냐, 아니면 후천적acquired 질병이냐 식의 논쟁의 이제는 거의 하지 않는다. 원인은 모르지만 자폐와 관련된 많은 전문가들이 자폐는 선천적인 질병이라는 사실에 거의 동의한다. 또한 자폐가 생물학적 질병이라는 점에도 많은 이들이 동의한다. 실제로 2015년 4월

생의학적 접근에 대한 부모들의 평가 조사

자폐스펙트럼 장애는 생물학적 질병이라는 주장에 많은 학자들과 전문가들이 동의하는 바이다. 물론 자폐증에 원인에 대해서는 확실하게 설명된 적은 없다. 자폐스펙트럼의 다양한 치료법 중에 생의학적 중재Biomedical Interventions은 이미 많은 자폐증 어린이들을 위해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그 효과도 과학적인 연구 논문을 통해서 입증되고